정리안된메모4 자바스크립트의 this 자바스크립트는 this의 위치에 따라 다른 곳을 가르킨다. 전역 this = window (브라우저의 최상위 객체) 일반 함수 this = window(strict모드면 undefine) : 단독으로 호출됐을 때 객체의 메서드 this = 객체 자기 자신 일반 콜백함수 this = window 화살표 콜백함수 this = 콜백이 정의된 위치의 this(바깥 this를 그대로 상속 받는다) 2025. 4. 13. 얼리 리턴 패턴 활용하기 Beforefunction handleUserAction(user) { if (user) { if (user.isLoggedIn) { if (user.role === 'admin') { console.log('관리자 로그인됨'); navigateToAdminPage(); } else { console.log('권한이 없습니다.'); } } else { console.log('로그인이 필요합니다.'); } } else { console.log('유저 정보가 없습니다.'); }} afterfunction handleUserAction(user) { if (!user) { console.log('유저 정보가 없습니다.'); return; } if (!user.isLo.. 2025. 4. 6. 코드읽기 컴포넌트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요소들을 의미한다 vue 프로젝트의 components 디렉토리에 생성한다 vue 파일을 작성할 때 {{ message }}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// setup 속성을 사용한 코드 {{ message }} 이렇게 만든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. 스크립트 블록에 임포트 하고템플릿 블록에 태그형태로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다. 이 처럼 사용하는 주체 컴포넌트를 부모 사용되는 객체를 자식 컴포넌트라고 한다 자식 컴포넌트안에 또 다른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다. 자손 컴포넌트라고 한다 여기서 부모는 가장 상위에 위치하고 있는 최상위 컴포넌트라고한.. 2025. 3. 11. JS 코드따라읽기 async function read() { const response = await fetch("http://abc.com/posts"); if (response.status === 200) { document.getElementById("post").innerText = await respose.text(); } else { window.alert("오류발생"); }} 알고넘어갈것 async function : 비동기 함수를 선언비동기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하며 내부에서 await를 사용할 수 있다.위 코드에서는 await를 사용하기 위해 비동기 함수를 선언함 await : 비동기 작업을 응답이 올때까지 기다릴 수 있게함fetch는 비동기로 http 요.. 2025. 3. 2. 이전 1 다음